맨위로가기

지요노후지 미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요노후지 미쓰구는 1955년 홋카이도에서 태어난 전 스모 선수로, 1981년 요코즈나로 승진하여 1991년 은퇴할 때까지 58대 요코즈나로 활약했다. 그는 통산 1045승을 기록하며 스모 역사상 최다 승리 기록을 세웠고, 53연승을 기록하기도 했다. 1989년에는 국민영예상을 수상했으며, 2016년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그의 주특기는 왼손 바깥 그립을 활용한 '우와테나게' 였으며, 41가지의 다양한 기술을 구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 출신 스모 선수 - 다이호 고키
    다이호 고키는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21세에 최연소 요코즈나에 등극, 마쿠우치 32회 우승 및 45연승 등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우며 "쇼와 시대의 다이요코즈나" 칭호를 얻고 국민영예상을 추서받은 전설적인 스모 선수이다.
  • 요코즈나 - 다이호 고키
    다이호 고키는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21세에 최연소 요코즈나에 등극, 마쿠우치 32회 우승 및 45연승 등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우며 "쇼와 시대의 다이요코즈나" 칭호를 얻고 국민영예상을 추서받은 전설적인 스모 선수이다.
  • 요코즈나 - 아케보노 다로
    아케보노 다로는 하와이 출신으로 일본 스모계에서 요코즈나에 등극하여 11차례 우승을 차지한 전 스모 선수이자, 은퇴 후에는 격투기 선수와 프로레슬러로 활동하며 여러 타이틀을 획득한 인물이다.
  • 일본의 스모 선수 - 다이호 고키
    다이호 고키는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21세에 최연소 요코즈나에 등극, 마쿠우치 32회 우승 및 45연승 등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우며 "쇼와 시대의 다이요코즈나" 칭호를 얻고 국민영예상을 추서받은 전설적인 스모 선수이다.
  • 일본의 스모 선수 - 역도산
    역도산은 함경남도 홍원군 출신의 프로레슬러로, 일본 프로레슬링의 아버지로 불리며 일본 프로레슬링협회를 창설하고 NWA 인터내셔널 헤비웨이트 챔피언을 획득하며 일본 프로레슬링 대중화에 기여했다.
지요노후지 미쓰구
기본 정보
2010년의 지요노후지
2010년의 지요노후지
본명아키모토 미쓰구
애칭울프
(기타노우미 등과의 비교에서) 작은 대요코즈나
쇼와 마지막의 대요코즈나
출생일1955년 6월 1일
사망일2016년 7월 31일 (향년 61세)
출신지홋카이도마쓰마에군후쿠시마정
신장183 cm
체중127 kg
BMI37.91
소속 방고코노에 방
특기오른쪽 샅바, 오와테나게
현재 계급은퇴
최고 계급제58대 요코즈나
생애 전적1045승 437패 159휴 (125장소)
마쿠우치 전적807승 253패 144휴 (81장소)
우승마쿠우치 최고 우승 31회
마쿠시타 우승 1회
수상기량상 1회
간투상 1회
기능상 5회
첫 데뷔1970년 9월 장소
신주료1974년 11월 장소
입막1975년 9월 장소
은퇴1991년 5월 장소
은퇴 후고코노에 방의 사범
비고긴보시 3개 (미에노우미 2개, 와카노하나 1개)
선수 정보
시코나지요노후지 미쓰구
본명아키모토 미쓰구
헤야고코노에 방
최고 랭크요코즈나 (1981년 7월)
은퇴 날짜1991년 5월
개인 정보
출생지후쿠시마정, 홋카이도, 일본
사망 장소도쿄, 일본
기록
전적1045-437-170
마쿠우치 우승31회
마쿠시타 우승1회
수상 경력우수 선수상 1회
투지상 1회
기술상 5회
획득한 긴보시미에노우미 (2개)
와카노하나 II (1개)

2. 초기 생애

홋카이도 후쿠시마정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난 아키모토 미쓰구는 어린 시절 육상 선수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5] 15세 때 같은 고향 출신인 제41대 요코즈나 지요노야마 마사노부가 비행기도쿄도를 구경시켜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스모에 입문하게 되었다.[6] 1970년 9월 스모 무대에 처음 등장하였다.

2. 1. 출생과 가족 배경

1955년 홋카이도 마쓰마에군 후쿠시마정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났다.[4] 아버지는 근육질은 아니었지만 굵은 골격을 가지고 있었고, 이 골격이 미쓰구에게 유전된 것으로 보인다.[36] 어린 시절부터 체격이 또래보다 머리 하나는 더 컸으며, 식탁에 놓인 꽁치연어 등의 생선으로 몸을 만들었다.[36]

어릴 때부터 어업을 도우며 자연스럽게 다리 힘이 길러졌고, 운동 신경이 뛰어나 처음에는 농구를 했다.[36] 후쿠시마정립 후쿠시마 중학교 육상 경기부에서는 높이뛰기세단뛰기로 마쓰마에군 대회에서 우승했다.[37] 중학교 시절 높이뛰기 1m 62, 세단뛰기 12m 58이라는 기록이 남아있다.[36] "올림픽 선수도 될 수 있다"는 말을 들을 정도였지만, 스모는 매우 싫어했다.

중학교 1학년 때 충수염(맹장염) 수술을 받았는데, 배의 근육이 두꺼워 수술이 예상보다 오래 걸렸고, 수술 직전에 마취가 풀렸다. 그럼에도 필사적으로 참는 미쓰구를 본 병원장이 지요노야마 마사노부의 입문을 도운 적이 있는 와카사 류타로(당시 고코노에 방 홋카이도 후원회 담당자)에게 연락했다. 지요노야마와 미쓰구의 어머니 친가인 오무라 가문이 먼 친척 관계였고,[37] 홋카이도 순회공연 때 지요노야마는 직접 아키모토 가문에 입문을 권유했지만, 미쓰구 본인은 내키지 않았고, 부모님도 입문을 몹시 반대하여 일단 거절했다.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은 지요노야마는 미쓰구에게 "일단 도쿄에 가자. 입문한다면 비행기[38] 태워줄게"[39][40] "중학교 동안만 (스모를) 해보고, 그 다음을 생각해보는 건 어때?" 등의 제안을 했고, 미쓰구는 비행기를 꼭 타고 싶었기에 가족의 반대를 무릅쓰고 고코노에 방에 입문하기로 결정했다.

아직 현역이었던 기타노후지 가쓰아키도 미쓰구를 만났는데, 당시를 회상하며 "작았어요. 하지만, 기죽지 않고 태연한 얼굴로 방에 왔던 것을 기억해요. '나를 아느냐'고 물었더니, '몰라요. 다이호는 알지만.' 그게 첫 대화였어요."라고 회고했다.[41] 상경 전날 밤에는 아버지가 순회공연 접대 역할을 맡았던 다카노하나를 만나 "얘야, 스모하러 가는 거니?", "(고코노에 방은) 관장님도 좋고, 요코즈나도 좋아. 아주 밝고 좋은 방이야... 얘야, 눈빛이 다르구나. 힘내라"라는 말을 들었다.[42]

2. 2. 학창 시절과 운동 능력

지요노후지 미쓰구는 1955년 홋카이도 마쓰마에 군 후쿠시마 정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났다.[36] 어릴 때부터 체격이 또래보다 컸으며, 어업을 도우며 자연스럽게 다리 힘을 길렀다.[36]

후쿠시마정립 후쿠시마 중학교 육상 경기부에서 활동하며 높이뛰기세단뛰기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37] 마쓰마에 군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당시 기록은 다음과 같다.[36]

종목기록
높이뛰기1m 62
세단뛰기12m 58



주위에서는 "올림픽 선수도 될 수 있다"라고 할 정도였지만, 정작 본인은 스모를 매우 싫어했다.[36]

중학교 1학년 때 맹장염 수술을 받았는데, 배의 근육이 두꺼워 수술이 예상보다 오래 걸렸고, 수술 직전 마취가 풀렸음에도 필사적으로 참아냈다.[36] 이를 본 병원장이 지요노야마 마사노부의 입문을 도운 적이 있는 와카사 류타로에게 연락했고, 지요노야마는 직접 미쓰구의 집을 방문하여 스모 입문을 권유했다.[37] 미쓰구는 스모에 내키지 않았고 부모님도 반대했지만, "도쿄에 가면 비행기[38] 태워주겠다"는 지요노야마의 제안에 결국 고코노에 방에 입문하기로 결정했다.[39][40]

2. 3. 스모 입문 계기

홋카이도 후쿠시마정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난 아키모토 미쓰구는 학창 시절 육상, 특히 달리기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5] 15세 때, 같은 후쿠시마 정 출신의 제41대 요코즈나 지요노야마 마사노부가 그에게 비행기를 타고 도쿄도를 여행시켜 주겠다고 제안하면서 스모 선수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6] 지요노야마는 맹장 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던 아키모토를 찾아가 스카우트했는데, 당시 비행기를 한 번도 타본 적이 없었던 어린 아키모토는 이 제안에 크게 흥분하였다.[6]

하지만 아키모토의 아버지는 아들의 스모 입문을 완강히 반대했다. 이에 지요노야마는 "아키모토를 훌륭한 세키토리로 키우겠다"고 약속하며 끈질기게 설득했고, 결국 아키모토의 아버지는 "3년 안에 주료에 오르지 못하면 후쿠시마로 돌아오겠다"는 조건을 걸고 허락했다.

3. 선수 경력

지요노후지 미쓰구는 홋카이도 후쿠시마정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나 학창 시절 육상 선수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5세 때 지요노야마 마사노부의 권유로 스모에 입문하여, 1970년 9월에 처음 스모 무대에 등장했다. 1974년 11월에는 주료로, 1975년 9월에는 마쿠우치로 승격되었으나, 잦은 어깨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탈구 버릇이 심해 여러 번 수술과 재활을 반복해야 했다.[46][49][50]

1977년 스승 지요노야마가 사망한 후, 기타노후지 가쓰아키의 헤야(部屋)에 남았다. 스승의 지도로 옆구리를 조이고 왼쪽 샅바를 잡는 기술을 익혀 부상을 극복하고, 1978년 1월 마쿠우치에 복귀했다.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1981년 1월에는 오제키로 승격되었고, 같은 해 7월에는 제58대 요코즈나에 올랐다.

요코즈나 승진 후, 1981년부터 1988년까지 53경기 연속 무패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후타바야마 사다지(69경기), 하쿠호 쇼(63경기)에 이어 역대 3위에 해당한다. 1980년대 스모계를 풍미하며 통산 1,045승(마쿠우치 807승)을 기록, 역대 최다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1988년1989년에는 일본 프로 스포츠 대상을, 1989년에는 국민영예상을 수상했다.

1982년에는 6개 대회 중 4개에서 우승하며 스모계를 지배했으나,[33] 1983년부터 1984년까지는 다카노사토의 도전과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9개 대회에서 단 한 번 우승했다.[33] 하지만 1985년부터 "지요노후지 무적 시대"가 시작되었고,[69] 1986년에는 다카노사토가 은퇴하고 5개 대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1989년에는 막내딸이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으로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지만,[56][73] 7월 대회에서 우승하며 슬픔을 극복했다.[40][73]

1991년 5월, 다카하나다(후의 다카노하나)와 다카토리키에게 연패한 후 은퇴를 선언했다.

3. 1. 초기 경력

1970년 9월에 스모 무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1974년 11월에는 주료로 승격되었다.[8] 1975년 9월에는 마쿠우치로 승격되었지만 어깨 부상으로 인해 한동안 스모 무대에 나서지 못했다.[8][9] 1978년 1월에 마쿠우치로 복귀했다.

그의 시코나(링네임)인 지요노후지(千代の富士)는 그의 헤야에 있던 두 명의 이전 요코즈나인 지요노야마와 기타노후지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지요(千代)는 영원함을 의미하며, 후지(富士)는 후지산을 의미한다.[7] 그는 맹렬함과 남성적인 외모 때문에 "늑대"(일본어: ウルフ, Urufu)라는 별명을 얻었다.[7][8]

지요노후지 오리지널 테가타(수형 & 서명)


지요노후지는 1970년 9월에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8] 1974년 11월에 주료에 도달했고, 1975년 9월에는 마쿠우치로 승격되었다.[8] 그러나 그는 한 번의 토너먼트만 치르고 강등되었고, 어깨 탈골 부상이 반복되면서 급여를 받지 못하는 등급으로 다시 떨어졌다.[9]

1979년, 어깨 문제로 지요노후지는 잠시 2부 리그로 떨어졌지만 곧 복귀했다. 그의 스승은 그에게 어깨 부상의 위험을 높이는 던지기 기술 대신 빠르게 땅을 확보하고 상대를 몰아내는 기술을 사용하도록 격려했다.[11]

3. 2. 주료 및 마쿠우치 시절

지요노후지는 1974년 11월에 주료로 승격되었고,[8] 1975년 9월에는 마쿠우치로 승격되었다.[8] 그러나 한 번의 대회만 치르고 강등되었고, 어깨 탈골 부상이 반복되면서 급여를 받지 못하는 등급으로 다시 떨어졌다.[9] 1978년 1월에 마쿠우치로 복귀했다. 5월에 투지상을 받은 후, 지요노후지는 처음으로 고무스비에 올랐다. 그는 최고 등급 초기에 스모 팬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또 다른 경량급 스모 선수인 다카노하나 1세와 자주 비교되었다. 다카노하나는 지방 투어에서 지요노후지를 처음 만나 그에게 스모를 해보라고 권유했다. 나중에 그는 지요노후지에게 흡연을 포기하라고 조언했는데, 이는 그가 체중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10]

1979년, 어깨 문제로 지요노후지는 잠시 2부 리그로 떨어졌지만 곧 복귀했다. 그의 스승의 격려로 그는 어깨 부상의 위험을 높이는 던지기 기술뿐만 아니라 빠르게 땅을 확보하고 상대를 몰아내는 데 의존하기 시작했다.[11] 1979년 5월 장소는 휴장 후 서십 양 2매로 내려갔고, 경기 중 부상이었기 때문에 공상 제도를 이용하여 어깨 치료에 전념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절차상의 실수로 공상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면서[54] 장소 직전에 발각되었기에, 이대로 휴장하면 막하 강등의 위기도 있었기에 3일째부터 강행 출장하여 9승을 거두고 같은 해 7월 장소에서 막내로 복귀했다. 이후 착실하게 실력을 쌓아 막내 상위에 정착하게 되었다. 어깨 탈구를 겪은 후, 이전의 강인한 던지기에서 앞 돌기를 잡고 한 번에 밀어내는 형태를 완성했고[58], 1980년 3월 장소부터 막내 상위에 정착한다.

그는 훨씬 더 일관성을 보여주며 1980년 3월과 7월 대회에서 요코즈나를 꺾고 세 개의 긴보시를 획득했으며, 이 대회에서 기술상도 받았다. 요코즈나・오제키 진을 차례로 쓰러뜨려 인기인이 되었고, 특히 오제키 승진 후의 조이잔에 대해서는 6전 6승으로 "조이잔 킬러"로 불렸다. 그는 5월과 9월 대회에서 다시 고무스비로 싸웠는데, 후자의 대회에서 그는 처음으로 최고 등급에서 10승을 거두었다. 같은 해 9월 장소에는 소결로 4일째에 기타노우미를 처음으로 꺾고, 연승을 24에서 멈추게 했으며, 막내 첫 두 자릿수 승리인 10승 5패의 성적을 거두었다(이 장소 이후 은퇴까지, 개근 장소에서는 모두 두 자릿수 승리). 지요노후지는 세키와케에 올랐고, 이 등급에서 단 두 번의 대회만 치렀다. 같은 해 11월 장소에서 신세키와케로 승진하자 첫날부터 8연승을 거두었다. 연승은 9일째 와지마에게 패하며[59] 멈췄지만 11승 4패의 성적을 거두어 오제키를 눈앞에 두고 1981년 1월 장소를 맞이했다. 세키와케로서 그는 11-4의 성적을 거두었고, 1981년 1월에는 14-1의 성적을 거두며 지배적인 요코즈나 기타노우미에게 정규 경기에서 단 한 번만 패했고, 그 후 우승 결정전에서 그를 꺾고 처음으로 최고 마쿠우치 등급 타이틀을 획득했다.[8]

1981년 1월 장소는 전 장소를 훨씬 능가하는 쾌진격을 보여주었다. 와지마를 상대로 특기인 왼쪽 4개 잡기에서 능숙한 던지기, 와카노하나를 바깥 4개 잡기로 밀어 넘어뜨리기 등 모두 불리한 자세에서 2명의 요코즈나를 꺾는 등 첫날부터 14연승을 기록했다. 그리고 맞이한 천추락(1월 25일), 1패로 쫓아간 기타노우미와의 직접 대결을 맞이했다. 본 경기에서는 매달아 던지기로 패하여 전승 우승을 놓쳤고, 기타노우미에게 14승 1패로 나란히 기록되었지만, 매달아 던지기를 당할 때 기타노우미의 다리 상태가 불완전하다는 것을 눈치채고 세운 작전이 우승 결정전에서 훌륭하게 성공하여, 기타노우미를 오른쪽으로부터 능숙하게 던지기로 꺾고, 막내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이로 인해 그는 두 번째로 높은 등급인 오제키로 승격되었다.[8] 이 빠른 상승세를 보이는 동안 그는 이전 세 번의 대회에서 기술상을 받았고, 1981년 1월 대회에서도 다시 기술상을 받았으며, 뛰어난 성적상도 받았다. 오제키로서 그는 1981년 7월까지 다음 세 번의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여기서 그는 다시 기타노우미를 꺾고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했다.[8] 이 승리 후 그는 스모 역사상 58번째 요코즈나로 승격되었다.[4]

3. 3. 요코즈나 시대

1981년 7월부터 1991년 5월 은퇴할 때까지 제58대 요코즈나로 재임했다. 요코즈나 승진 후 첫 토너먼트는 부상으로 불참했지만, 11월에 복귀하여 아사시오를 꺾고 우승했다. 1981년부터 1988년까지 8년 연속 규슈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11]

1982년에는 6개 토너먼트 중 4개에서 우승하며 스모계를 지배했다.[33] 그러나 1983년부터 1984년까지는 다카노사토의 도전과 부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83년 5월부터 1984년 9월까지 9개 토너먼트에서 단 한 번 우승했다.[33] 1985년 기타노우미가 은퇴하고, 1986년에는 6개 토너먼트 중 5개에서 우승하며 다시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다.[33]

1988년에는 53연승을 기록했는데,[4] 이는 후타바야마의 69연승, 하쿠호의 63연승에 이어 스모 역사상 세 번째로 긴 기록이다. 이 연승은 오노쿠니에게 패하며 끝났다.[4]

1989년 7월에는 호쿠토우미를 꺾고 28번째 우승을 차지했다.[12] 같은 해 9월, 오시오의 964승 기록을 넘어섰고,[4] 국민영예상을 수상한 최초의 스모 선수가 되었다.[4] 1990년 3월에는 1000승을 달성했다. 1990년 11월에 31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3][7]

1991년 개막 토너먼트에서 기타노우미의 804승 기록을 넘어섰지만, 둘째 날 부상으로 기권했다. 5월에 복귀했지만, 첫날 다카하나다(후의 다카노하나)에게 패했다.[4] 셋째 날 다카토리키에게 패한 후,[4] 36세 생일을 몇 주 앞두고 은퇴를 발표했다.[15]

1982년은 3~7월 3개 장소 연속 우승을 달성, 첫 연간 최다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요코즈나 승진 후 처음 3년간은 불안정한 모습도 보였다. 1983년은 왼쪽 어깨 아탈구 등으로 고전했고, 1984년에는 "치요노후지 한계설"이 나오기도 했다.[69][70]

그러나 1985년부터 "치요노후지 무적 시대"가 시작되었다.[69] 1986년에는 다카노사토가 은퇴하고, 5장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1988년에는 '''53연승'''을 기록했다.[56][71]

1989년에는 막내딸이 SIDS(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지만,[56][73] 7월 장소에서 우승하며 슬픔을 극복했다.[40][73] 같은 해 9월에는 국민영예상을 수상했다.[75]

1990년에는 통산 1000승을 달성했다.[77] 1991년 5월 장에서 다카하나다에게 패하고, 다카토리키에게 패한 후 은퇴를 표명했다.[80]

4. 은퇴 후

지요노후지는 1991년 5월 은퇴 후 진마쿠라는 토시요리 명칭을 물려받았다.[7] 1992년에는 기타노후지 가쓰아키로부터 코코노에 방을 매입하여 두 사람은 토시요리 명칭을 서로 교환, 13대 코코노에를 습명하고 코코노에 방을 계승하며 지도자의 길을 걸었다.

일본 스모 협회에서 심판 위원으로 활동했고,[21] 2008년에는 이사로 취임해 홍보부장, 지도보급부장 등을 역임했다. 2010년에는 자신의 연승 기록(53연승)을 넘은 하쿠호를 축복하기도 했다.

2015년 5월 31일, 료고쿠 국기관에서 환갑 도효이리를 거행,[95] 붉은 쓰나(綱)를 매고 등장해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4. 1. 은퇴 및 토시요리 (年寄) 명칭 승계

1989년 9월, 일본 스모 협회는 현역으로 활동하던 지요노후지에게 자신의 시코나를 토시요리 명칭으로 사용하는 1대 스모 원로 (이치다이-토시요리)를 제안했지만,[16][17] 다른 토시요리 명칭을 물려받을 의향이 있었기에 이를 거절했다.[7] 1991년 5월 현역에서 은퇴한 후 지요노후지는 진마쿠라는 토시요리 명칭을 물려받았고,[7] 1992년에는 기타노후지로부터 코코노에 방을 매입하여 두 사람은 토시요리 명칭을 서로 교환했다(진마쿠와 코코노에).[18][19] 방의 매입 가격은 약 5000만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방의 시장 가격보다 낮았다.[7]

1992년 4월, 스승인 12대 코코노에(전 요코즈나 기타노후지)와 명칭을 교환하여 13대 코코노에를 습명하고, 코코노에 방을 계승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전 스승인 진마쿠(12대 코코노에)와 생각 차이 등으로 인해,[82] 1993년 10월, 남동생 제자인 하카쿠(전 요코즈나 홋토우미)가 코코노에 방에서 독립하여 하카쿠 방을 창설할 때, 진마쿠를 포함한 部屋付(방에 소속된)의 모든 연령이 하카쿠 방으로 이적하게 되었다.[40] 더욱이 시설도 구 코코노에 방의 것을 계승하여 코코노에 방 쪽이 방에서 나가게 되었다.[83][84] 이 때문에 코코노에는 자택을 개조하여 방을 신설했다.[85] 현재 코코노에 방은 "거대한 요코즈나 지요노후지가 스승인 씨름 방"이라는 색깔을 전면에 내세운 방이 되었다.[86]

그의 지도하에, 이 방은 오제키 지요타이카이, 고무스비 지요텐잔, 마에가시라 지요하쿠호를 포함한 여러 최고위 스모 선수들을 배출했다. 2016년 사망 당시 코코노에 방은 세키토리의 수에서 스모에서 가장 성공적인 방 중 하나였으며, 4명의 선수(지요타이류, 지요마루, 지요노쿠니, 지요오토리)가 최고 등급에, 2명(지요쇼마 등)이 주료에 있었다.[20] 육성 면에서는 오제키로 승진한 치요타이류 외에 치요텐잔, 치요호, 치요마루, 치요타이류, 치요노쿠니, 치요쇼마 등을 키우고 있다.[93] 다이호 이후의 일대 연령으로 현직 중에 제자가 오제키로 승진한 친방은 2016년 시점에서는 코코노에 단 한 명이다.[94] (다만 앞서 언급했듯이, 일대 연령은 사퇴하고 있다).

코코노에의 제자 지요타이류의 증언에 따르면, 방의 스승으로서 자신이 밀어치는 씨름 선수에게 고전한 경험에서 밀어치기가 씨름 중에서 가장 강하다고 믿고 있으며, 실제로 제자 중 다수가 밀어치기 씨름 선수로 세키토리에 올랐다. 훈련장에서는 엄격하여, 씨름을 하는 훈련에서도 입회의 당첨이 좋지 않거나 갑자기 가슴에서 당하여 마와시를 잡으면 다시 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기술 면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증언하고 있다.[141]

은퇴 후, 2010년 5월 장소까지 매 장소마다 중일신문에 "일도양단"이라는 제목으로 씨름 해설 칼럼을 연재했다(계열지인 도쿄 신문에는 "울프의 눈"이라는 제목으로 게재). 주목받는 경기나 씨름 선수에 관한 독자적인 해설, 씨름계에 대한 제언, 우승 선수 예상 등 폭넓게 집필했다. 우승 선수 예상에 관해서는 천추락 당일에도 맞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친방 업무와 함께 집필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방에 소속된 씨름 선수의 정보 등도 상세하게 이야기되어, 신문의 씨름 담당 기자가 쓴 기사와는 다른 매력이 있었다. 만년에는 씨름 선수의 훈련 부족, 하반신 강화 부족을 계속 주장했다.

그는 또한 몇 년 동안 링사이드 심판으로도 활동했다.[21]

4. 2. 코코노에 방 운영

1989년 9월, 일본 스모 협회는 지요노후지 미쓰구에게 ''이치다이-토시요리''(자신의 시코나를 토시요리 명칭으로 사용하는 1대 스모 원로)를 제안했지만,[16][17] 그는 다른 토시요리 명칭을 물려받을 의향이 있었기에 이를 거절했다.[7] 1991년 5월 현역 은퇴 후, 지요노후지는 진마쿠라는 토시요리 명칭을 물려받았고, 1992년에는 기타노후지로부터 코코노에 방을 매입하여 두 사람은 토시요리 명칭을 서로 교환했다(진마쿠와 코코노에).[7][18][19] 방의 매입 가격은 약 5000만으로 보고되었다.[7]

그의 지도하에, 이 방은 전 ''오제키'' 지요타이카이, 전 ''코무스비'' 지요텐잔, 전 ''마에가시라'' 지요하쿠호를 포함한 여러 최고위 스모 선수들을 배출했다. 2016년 사망 당시 코코노에 방은 ''세키토리'' 수에서 스모에서 가장 성공적인 방 중 하나였으며, 4명의 선수(지요타이류, 지요마루, 지요노쿠니, 지요오토리)가 최고 등급에, 2명(지요쇼마와 千代ノ皇王代仁|지요노오일본어)이 ''jūryō''에 있었다.[20] 육성 면에서는 오제키로 승진한 지요타이류 외에 지요텐잔, 지요호, 지요마루, 지요타이류, 지요노쿠니, 지요쇼마 등을 키웠다.[93] 다이호 이후 일대 연령으로 현직 중에 제자가 오제키로 승진한 친방은 2016년 시점에서는 코코노에 단 한 명이다[94](다만 앞서 언급했듯이, 일대 연령은 사퇴하고 있다).

그는 또한 몇 년 동안 링사이드 심판으로도 활동했다.[21]

2008년 2월, 그는 일본 스모 협회 이사회에 합류하여 지방 순회 또는 ''정교''를 조직하는 일을 담당했지만, 그의 제자 지요하쿠호가 승부 조작에 연루된 사실을 인정하고 스모에서 은퇴한 후 2011년 4월 사임해야 했다.[22] 그는 2012년 1월 선거에서 운영 이사(협회 계층에서 두 번째로 높은 직위)로 복귀했지만 2년 후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는 2016년 선거에서 지지 부족을 이유로 이사직에 출마하지 않았다.[23]

1992년 4월에 스승인 12대·九重(전 요코즈나·기타노후지)과 명예를 교환하여 13대·九重을 습명하고, 九重部屋를 계승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전 스승인 진막(12대·九重)과의 생각 차이 등으로 인해[82], 1993년 남동생 제자인 하카쿠(전 요코즈나·홋토우미)가 10월에 九重部屋에서 독립하여 八角部屋를 창설할 때, 진막을 포함한 部屋付(部屋의 부속)의 모든 연령이 동 방으로 이적하게 되었다[40]。더욱이 시설도 구 九重의 것을 계승하여 九重 쪽이 방에서 나가게 되었다[83][84]。이 때문에 九重은 자택을 개조하여 방을 신설했다[85]。현재 九重部屋는 "거대한 요코즈나·지요노후지가 스승인 씨름 방"이라는 색깔을 전면에 내세운 방이 되었다[86]

은퇴 후, 2010년 5월 장소까지 매 장소마다 중일신문에 "일도양단"이라는 제목으로 씨름 해설 칼럼을 연재했다(계열지인 도쿄 신문에는 "울프의 눈"이라는 제목으로 게재). 주목받는 경기나 씨름 선수에 관한 독자적인 해설, 씨름계에 대한 제언, 우승 선수의 예상 등 폭넓게 집필했다. 우승 선수 예상에 관해서는 천추락 당일에도 맞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친방업무와 함께 집필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部屋에 소속된 씨름 선수의 정보 등도 상세하게 이야기되어, 신문의 씨름 담당 기자가 쓴 기사와는 다른 매력이 있다. 만년에는 씨름 선수의 훈련 부족·하반신의 강화 부족을 계속 주장했다.

部屋의 치요타이류의 증언에 따르면, 방의 스승으로서 자신이 밀어치는 씨름 선수에게 고전한 경험에서 밀어치기가 씨름 중에서 가장 강하다고 믿고 있으며, 사실 제자는 다수의 밀어치기 씨름 선수가 세키토리로 성장하고 있다. 훈련장에서 엄격하고, 씨름을 하는 훈련에서도 입회의 당첨이 좋지 않거나 갑자기 가슴에서 당하여 마와시를 잡으면 다시 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기술 면은 입을 대지 않았다고 증언하고 있다[141]

일본 씨름 협회에서는 1994년에 무사시가와와 함께 임원 대우로 승진하여 심판부 부부장을 맡았지만, 평의원이 적은 다카사고 일문에 소속되어 있으며, 게다가 일문 내에서도 외래 출신[87]이기 때문에 이사로 입후보할 수 없었다. 또한, 1998년에 남동생 제자인 하카쿠가 상위의 감사에 취임하거나[88], 오랫동안 심판부 부부장을 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사가 맡는 심판 부장에는 후타코야마·오시오가와·호마와 오제키에서 멈춘 이사가 3대 연속으로 九重을 넘어서 취임하여, "부부장을 맡고 있다"라기보다는 "부장으로 승진하지 못하고 있다"라는 인상이 강했다.

그러나, 2007년 중반부터 시작되는 아사쇼류의 트러블이나 토키쓰카제 部屋 씨름 선수 폭행 사망 사건으로 씨름계가 크게 흔들리는 가운데, 일문 대표의 이사·다카사고가 아사쇼류의 스승으로서 책임을 묻게 되면서 2008년 2월부터 드디어 이사로 취임하여, 홍보 부장·지도 보급 부장을 맡았다. 심판부 직에서 벗어난 것으로 NHK의 스모 중계 해설자로 등장하는 것이 가능해져, 2008년 3월 장소 8일째에는 15년 만에 정면 해설석에서 막내 경기의 해설을 맡았다. 또한, 직후의 5월 장소부터 도쿄 장소 한정으로 팬 서비스의 일환으로, 친방들의 악수회를 개최하여 선착순 100명에게 친필 사인 색지를 선물했다. 그 후에는 요일별로 타마노이·타카다가와와 함께 일본 씨름 협회의 캐릭터 상품을 선착순 100명에게 선물했다.

그 직후 이사 선거에는, 다카사고 일문에서 입후보하여 당선을 해냈고, 신 제자 검사 담당·도핑 위원장을 겸임하는 심판 부장으로 취임했다. 이사장이 호마로 바뀐 후의 체제에서는 순회 부장을 맡고 있다. 2010년 9월 장소 7일째에 정면 해설석에서 해설을 맡아, 이 날 자신의 연승 기록(53연승)을 넘은 하쿠호를 支度部屋에서 축복했다.

2012년의 이사 개편에서 재선되지만 최하위 당선. 그러나, 개편 직후의 이사회에서, 다카노하나와 함께 기타노우미의 이사장 취임을 노력한 것으로부터, 논공행상에 의해 2월의 직무 임명에서, 사실상의 넘버 2인 사업부장에 취임했다. 9월에 라이 이사가 사임한 것을 받아, 종합 기획 부장과 감찰 위원장도 겸임.

기타노우미가 장폐색 때문에 2014년 1월 장소·첫날부터 7일째까지를 휴장하는 가운데 이사장 대행을 맡게 되어 협회 인사도 담당[89]。인사로서 "오제키 기세노사토가 휴장하게 되어 유감입니다"라고 말했다[90]

2014년의 이사 개편에서는 최하위인 5표밖에 획득할 수 없었고, 11명의 후보자 중 유일한 낙선이 되었다. 현직의 사업부장의 낙선은 사상 처음이었지만, 이사·九重에 대한 악평은 "호걸스러운 언동"으로 상시 지적되었으며[40], 해당 이사 선거에서 다카사고 일문이 하카쿠를 제1 후보로 옹립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놀라움으로 맞이할 수는 없었다[91]。같은 해 4월의 직무 분담에서는 위원으로 강등. 토모즈나(전 세키와키·카이키)처럼 전기에서 이사를 맡았던 연령이 다음 직무 분담에서 위원으로 강등되는 예가 과거에도 존재하지만, 전기의 연령 서열과 현역 시대의 실적을 생각하면 좌천이나 냉대라고 부를 만한 것이 있었다.[92]

4. 3. 환갑 도효이리 (還暦土俵入り)

2015년 6월 1일, 지요노후지 미쓰구는 환갑(60세)을 맞아, 그 전날인 5월 31일에 료고쿠 국기관에서 기타노우미 도키키 이후 2년 만이자 역대 10번째로 환갑 도효이리를 거행했다.[95] 츠유바라이(露払い, 의식에서 요코즈나를 앞에서 인도하는 역할)는 하마지마가, 타치모치(太刀持ち, 요코즈나의 칼을 들고 따르는 역할)는 하쿠호가 맡았는데, 당시 두 사람 모두 현역 요코즈나였다. 현역 요코즈나가 이 역할을 맡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95]

지요노후지는 환갑 도효이리를 위해 타치모치가 사용하는 후쿠사(袱紗, 비단 헝겊)와 새로 제작한 붉은 쓰나(綱, 요코즈나 허리 밧줄)의 고헤이(御幣, 신에게 바치는 물건. 지금까지는 백색)를 붉은색으로 통일하고, 기념 파티에서 입는 하오리(羽織, 일본 전통 겉옷) 끈도 붉은색으로 하는 등 세심한 부분까지 신경을 썼다.[96][97]

5. 스타일과 기술

지요노후지 미쓰구는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속공과 어깨넘어 던지기를 주특기로 한 시대를 풍미한 스모 선수였다. 어깨 탈구를 겪은 후, 강한 던지기 기술 대신 앞 미츠(앞 돌기)를 잡고 빠르게 밀어내는 스타일을 완성했다.[58] 그는 체격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했으며, 본 장소에서 패배한 상대에게는 직접 찾아가 연습하며 공략법을 익히는 노력을 기울였다.[122] 마와시를 꽉 조여 상대의 손가락이 걸려도 허리 흔들림으로 떨쳐내는 등, 체격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전성기에 보여준 독특한 어깨넘어 던지기는 "울프 스페셜"로 불리며 많은 인기를 얻었다.[122]

단련된 팔 힘을 바탕으로 마와시 당기기에 능숙했으며, 무거운 상대도 허리를 들게 할 정도였다.[125] 몸 중심이 매우 강하여 항상 축이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스모를 구사했다.[123] 앞 미츠 스모를 자신의 특기로 삼았는데, 이는 린코 시대의 네 몸 스모에 대한 대응 전략이었다고도 평가받는다.[123]

입씨름은 매우 날카로워 단거리 달리기 스타트에 비유될 정도였으며, 이는 주특기인 왼쪽 마와시를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6] 휴장 후 복귀 장소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며 6번이나 우승을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30대에 들어서면서 한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다음 장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불사조'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128]

십량 이상에서 41가지 기술로 937승을 거두었으며, 밀어내기(391승)와 어깨넘어 던지기(169승)가 주된 기술이었다.[124] 패배 시에는 밀어내기(131패)와 매달아 던지기(76패)로 패한 경우가 많았다.[124]

요코즈나 시코는 매우 아름다웠고, 기합이 들어간 도효이리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127] 무거운 요코즈나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를 머리보다 높이 올리는 모습은 보기 드문 장면이었다.[127] 경기 전 예의범절을 중시하는 꼼꼼한 모습도 보여주었다.

고니시키는 지요노후지가 레이와 시대에 스모를 했다면 60번 정도 우승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128]

5. 1. 주특기 기술

지요노후지 미쓰구는 우와테나게(팔뚝 들어 던지기)를 주특기로 사용했다.[8] 상대방의 마와시에 왼손은 바깥쪽, 오른손은 안쪽으로 잡는 '미기요츠' 자세를 선호했다.[8] 그의 왼손 바깥쪽 그립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일부 해설자들은 "죽음의 그립"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쓰리다시(들어 올리기)도 그의 특기 중 하나였다.[31]

지요노후지는 다양한 기술을 구사했으며, 선수 생활 동안 41가지의 서로 다른 결정수를 사용했다.[31] 1987년 1월에는 아미우치(어부의 그물 던지기)라는 희귀한 기술로 승리하기도 했다.[32]

근육질 체격과 뛰어난 운동 신경, 극적인 던지기 기술은 그를 당대 가장 성공적이고 인기 있는 스모 선수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8]

5. 2. 상대 선수별 맞춤 전략

지요노후지는 뛰어난 실력만큼이나, 철저한 분석과 노력을 통해 자신만의 전략을 구축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라이벌들과의 대결에서 이러한 면모가 두드러졌다.

상대 선수내용
고토카제평막 시절 고토카제의 날카로운 움직임에 고전하며 5연패를 기록하기도 했다.[137] 그러나 사도가타케 방으로 출장 훈련을 나가 약점을 극복, 6번째 대결에서 승리한 후 압도적인 승률(총 22승 6패)을 기록했다.[137] 고토카제와의 훈련은 지요노후지가 속공 씨름을 익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서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137]
다카노사토지요노후지는 다카노사토에게 "뒤의 뒤를 읽힌다"고 표현할 만큼, 8연패를 당하는 등 유독 약한 모습을 보였다.[138] 통산 전적에서도 13승 18패(10량 1승 2패, 막내 12승 16패)로 열세였다. 1983년 7월부터 1984년 1월까지 4장소 연속 우승 결정전에서 만나 1승 3패를 기록했는데, 이 기간 동안 다카노사토는 요코즈나로 승진했다. 다카노사토는 지요노후지의 경기 비디오, 훈련, 심지어 취미와 책까지 분석하며 철저하게 대비했다.[138]
고니시키1984년 9월 첫 대결에서 완패했지만, 이후 다카사고 방으로 출장 훈련을 나가 약점을 보완하고 8연승을 기록했다(통산 20승 9패).
기타오(후의 소하쿠로)막내 대결 성적은 8승 6패로 팽팽했지만, 우승이 걸린 중요한 대결에서는 모두 지요노후지가 승리했다. 지요노후지는 기타오가 은퇴하지 않았다면 자신의 씨름 인생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회고하기도 했다.



지요노후지는 본 장소에서 패배한 상대에게는 출장 훈련이나 순회를 통해 공략법을 찾고, 젊은 선수들에게는 솔선하여 훈련을 지도하는 등 끊임없이 노력하는 자세를 보였다. 하지만 요코즈나 승진 후에도 고니시키에게 3연패, 4연패를 당하는 등 특정 선수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1984년에는 아사시오에게 4연패, 기타텐유에게 5연패(부전패 포함)를 당하는 등 부진한 시기도 있었다.

6. 인간적인 면모

지요노후지는 홋카이도 후쿠시마정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지요노야마와 출신지 및 졸업한 초등학교가 같다는 특이점이 있으며, 고향에는 요코즈나 지요노야마・지요노후지 기념관이 있고, 지요노야마와 지요노후지의 도효이리를 본뜬 동상이 있다.

장인은 겐요샤 기념관 관장이자 겐요 빌딩 사장을 역임한 신도 류세이이다. 아내는 신도 키헤이타 (제2대, 제5대 겐요샤 사장)의 증손녀이며, 신도 카즈마 (제10대 겐요샤 사장, 전 후쿠오카 시장)의 종손녀이다. 차녀는 패션 모델 아키모토 코즈에이며, 남편은 배우 마츠다 쇼타이다. 장남 아키모토 고, 장녀 아키모토 유 (코즈에의 오빠와 언니)도 패션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막내딸은 생후 4개월 만에 사망했다. 코즈에의 남편 마츠다 쇼타의 아버지는 배우 마츠다 유사쿠, 어머니는 마츠다 미유키이며, 미유키의 언니 (쇼타의 고모)는 쿠마가이 마미이므로, 지요노후지와는 친척 관계가 된다.[143][144]

지요노후지의 아버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히로시마시 우지나 (현 미나미구)에 있던 구 육군 선박사령부(아카츠키 부대)에 소속되어 있었다.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당시 경례 훈련 중 피폭되었으며, 구호 활동을 위해 히로시마 시내를 분주히 돌아다녔다. 1991년 히로시마 평화 문화 센터가 제작한 증언 비디오에 피폭 체험을 제공하여, 지요노후지는 피폭 2세가 되었다.[144]

차녀 아키모토 코즈에모델이자 탤런트로 활동하고 있다. 모델로 성공하기 전까지는 아버지인 지요노후지임을 정식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전속 모델이나 광고 모델로 기용되면서부터 예능 프로그램에서 공표하여 "2세 탤런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1988년 5월, 지요노후지가 23번째 막내 우승을 달성했을 때, 당시 생후 10개월이었던 아키모토 코즈에를 안고 기념 촬영을 한 적이 있다.[145]

6. 1. 성격과 리더십

같은 세대였던 아사시오는 지요노후지에 대해 "기가 세고 감정의 기복이 심하며, 자주 울었다"고 평했다.[133] 또, "입으로 하는 말은 거칠었을지 몰라도, 결코 속은 그렇지 않았다"고 덧붙이며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언급했다.[133]

지요노후지는 본 장소에서 패배한 상대에게는 출장 훈련이나 순회를 통해 공략법을 찾고, 젊은 씨름 선수들에게 솔선하여 훈련을 시키는 등 뛰어난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특히 전 장소에서 패배한 상대에게는 순회에서 적극적으로 훈련에 참여시켰다(아키노시마, 고토니시키, 료고쿠 등).[137]

하지만, 요코즈나로 승진한 후에도 특정 상대에게는 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다카노사토에게는 8연패를 당하기도 했고, 고니시키에게는 1987년과 1989년에 각각 3연패, 4연패를 당하기도 했다.[137] 1984년에는 아사시오에게 4연패, 기타텐유에게 5연패(부전패 포함)를 당하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37]

6. 2. 가족 관계

지요노후지는 1982년 5월 다섯 번째 우승 직후 약혼을 발표했고, 슬하에 아들 하나와 딸 셋을 두었다. 둘째 딸 아키모토 코즈에는 패션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막내딸 아이는 1989년 7월 대회 직전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생후 4개월 만에 사망했다.[25]

장인은 겐요샤 기념관 관장이자 겐요 빌딩 사장을 역임한 신도 류세이이다. 지요노후지의 아내는 신도 키헤이타 (제2대, 제5대 겐요샤 사장)의 증손녀이며, 신도 카즈마 (제10대 겐요샤 사장, 전 후쿠오카 시장)의 종손녀이다. 차녀는 패션 모델인 아키모토 코즈에이며, 남편은 배우 마츠다 쇼타이다. 그 외에 장남 아키모토 고, 장녀 아키모토 유 (코즈에의 오빠와 언니)도 패션 모델로 활동하고 있다. 코즈에의 여동생인 막내딸도 있었으나, 생후 4개월 만에 사망했다. 코즈에가 결혼한 것은 지요노후지의 사망 이후지만, 코즈에의 남편인 마츠다 쇼타의 아버지는 배우 마츠다 유사쿠, 어머니는 마츠다 미유키이며, 미유키의 언니 (쇼타의 고모)는 쿠마가이 마미이므로, 지요노후지와는 친척 관계가 된다.

지요노후지의 아버지는 전시 중 히로시마시 우지나 (현 미나미구)에 있던 구 육군 선박사령부(아카츠키 부대)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1945년 8월 6일 경례 훈련 중 피폭되어 구호 활동을 위해 히로시마 시내를 분주히 돌아다녔다.[143][144] 1991년에 히로시마 평화 문화 센터가 제작한 증언 비디오에 피폭 체험을 제공했다.[144] 이 때문에 지요노후지는 피폭 2세이다.

차녀 아키모토 코즈에모델이자 탤런트로 활동하며, 모델로 성공하기 전까지 아버지인 지요노후지임을 정식으로 공표하지 않았다. 전속 모델이나 광고 모델로 기용되면서부터 예능 프로그램에서 공표하여 "2세 탤런트"로서 활동하고 있다. 1988년 5월 장소에서 지요노후지가 23번째 막내 우승을 달성했을 때, 당시 생후 10개월이었던 아키모토 코즈에를 안고 기념 촬영을 한 적이 있다.[145]

6. 3. 취미와 여가 활동

지요노후지는 스모계에서 손꼽히는 골프광으로 알려졌다. 원래는 골프를 취미로 삼지 않았으나, 쉬는 날에 마작이나 패미컴에 열중하는 지요노후지에게 구노에(기타노후지)가 "건강한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며 억지로 골프를 시킨 것이 계기가 되었다. 처음 골프를 쳤을 때 전반 9홀에서 40대 타수를 기록하고, 한 라운드를 86타로 돌며 구노에보다 좋은 스코어를 기록하자, 이후 골프에 푹 빠지게 되었다.[135]

직소 퍼즐 또한 지요노후지가 즐겼던 취미 중 하나였다. 1986년 4월부터 8개월에 걸쳐 5146피스나 되는 낡은 세계 지도가 그려진 퍼즐을 완성했다. 1987년 1월 즈음에 마지막 1피스를 끼워 맞춰 완성했을 때, 당시 카스가노 이사장은 "이 정도 씨름이라면 2, 3년은 문제없겠군"이라고 말했는데, 실제로 그 예측대로 2, 3년간 전성기에 가까운 씨름을 했고, 4년 뒤인 1991년 5월에 은퇴했다.[135]

7. 사망과 추모

지요노후지는 2016년 7월 31일 도쿄도에서 췌장암으로 인해 6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8][29] 일본 정부는 그가 스모계에 기여한 공헌과 쇼와 시대를 대표하는 스포츠 영웅으로서 대중적인 인기를 고려하여 종4위와 욱일중수장을 추서했다.

7. 1. 투병 생활

지요노후지는 2015년 7월에 췌장암 수술을 받았다.[26] 그해 9월 아키 바쇼에서 기자들에게 말할 때 눈에 띄게 수척해진 모습을 보였다.[26] 암이 심장과 폐로 전이되었다고 측근들에게 말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16년 나고야 토너먼트 4일째부터 입원해 있었다.[27]

2016년 7월 31일, 지요노후지는 도쿄에서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8][29] 일본 스모 협회 회장이자 지요노후지의 동료이자 제자였던 전 ''요코즈나'' 호쿠토우미는 너무 슬퍼서 언론에 말을 할 수 없었다.[27] 그의 전 스승이자 전 ''요코즈나'' 기타노후지는 "훌륭한 제자를 축복받았다"고 말했다.[27]

8살 연하의 제자 기타카츠umi 노부요시는 부고 직후 충격이 너무 커서 코멘트할 수 없었다. 다음 날인 8월 1일, 기타카츠umi는 기자들에게 "형님 제자였지만, 또 한 명의 친방이라는 느낌이었다"며 현역 시절을 회상한 후, "(돌아가신 것은) 진짜인가 하는 느낌"이라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지요노후지를 마지막으로 만난 것은 같은 해 1월, 타카사고 일문(高砂一門) 회합이 열린 야키니쿠 가게에서였으며, "몇 년 지나서, 둘이 술을 마시면서 추억을 이야기하고 싶었는데…"라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싱어송라이터 마쓰야마 지하루는 지요노후지와 같은 홋카이도 (아쇼로군 아쇼로정) 출신으로, 1955년생 동갑내기 친구였다. 1991년 후지TV 드라마 '지요노후지 이야기'에서 마쓰야마는 엔딩 테마곡 「타오르는 눈물」을 직접 제작했다. 지요노후지 사망 후 장례식에 참석한 마쓰야마는 "그렇게 강인한 남자가 이렇게 빨리 가다니… 명복 같은 건 빌지 않겠어. 관에서 빨리 일어나라고 말하고 싶다"라며 안타까워했다.[142]

8월 2일, 스모 협회는 지요노후지의 작별식이 10월 1일 료고쿠 국기관 입구에서 열릴 것이라고 발표했다.[30]

7. 2. 사망과 장례

2016년 7월 31일 도쿄도에서 췌장암으로 인해 향년 61세를 일기로 사망했다.[28][29] 2015년 7월에 췌장암 수술을 받았던 지요노후지는[26] 암이 심장과 폐로 전이되었다고 측근들에게 말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16년 나고야 토너먼트 4일째부터 입원해 있었다.[27]

일본 스모 협회 회장이자 지요노후지의 동료이자 제자였던 전 요코즈나 호쿠토우미는 지요노후지의 사망 직후 너무 슬퍼서 언론에 말을 할 수 없었다고 한다.[27] 그의 전 스승이자 전 요코즈나였던 기타노후지는 "훌륭한 제자를 축복받았다"고 말했다.[27] 1991년 그를 꺾어 지요노후지의 은퇴를 재촉했던 또 다른 전 요코즈나인 타카노하나는 그와 함께 훈련할 때 지요노후지의 "강철 몸"에 대한 두려움을 떠올렸다고 회고했다.[27]

일본 스모 협회는 8월 2일, 지요노후지의 작별식이 10월 1일 료고쿠 국기관 입구에서 열릴 것이라고 발표했다.[30]

일본 정부는 스모계의 발전에 기여한 점, 쇼와 시대를 대표하는 일본 스포츠계의 영웅으로서 일반 대중의 인지도가 높은 점을 감안하여 그에게 종4위와 욱일중수장을 추서했다.

싱어송라이터 마쓰야마 치하루는 지요노후지와 같은 홋카이도 (아쇼로군 아쇼로정) 출신으로, 1955년생 동갑내기 친구였다. 지요노후지가 현역 은퇴 후인 1991년, 후지TV 드라마(가오 패밀리 스페셜) '지요노후지 이야기'에서는 마쓰야마가 직접 엔딩 테마곡으로 「타오르는 눈물」을 제작했다. 1992년 은퇴 씨름 단발식이나 만 60세를 축하하는 환갑 도효이리 파티 등에도 참석했다. 지요노후지의 장례식에 참석한 마쓰야마는 기자들에게 "그렇게 강인한 남자가 이렇게 빨리 가다니… 명복 같은 건 빌지 않겠어. 관에서 빨리 일어나라고 말하고 싶다"라며 안타까워했다.[142]

7. 3. 추모 행사

2016년 7월 31일, 지요노후지는 도쿄에서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8][29] 일본 스모 협회는 8월 2일, 10월 1일에 료고쿠 국기관에서 지요노후지의 작별식을 거행한다고 발표했다.[30]

지요노후지의 사망 직후, 그의 제자이자 일본 스모 협회 회장이었던 전 ''요코즈나'' 호쿠토우미는 큰 슬픔에 말을 잇지 못했다.[27] 지요노후지의 스승이었던 전 ''요코즈나'' 기타노후지는 "훌륭한 제자를 두어 행복했다"고 말했다.[27] 1991년 지요노후지를 꺾어 은퇴를 재촉했던 전 ''요코즈나'' 다카노하나는 함께 훈련할 때 지요노후지의 "강철 몸"에 대한 경외심을 회상했다.[27]

싱어송라이터 마쓰야마 치하루는 지요노후지와 같은 홋카이도 아쇼로군아쇼로정 출신의 동갑내기 친구였다. 지요노후지의 은퇴 후인 1991년, 후지TV 드라마 '지요노후지 이야기'의 엔딩 테마곡 「타오르는 눈물」을 제작하기도 했으며, 1992년 은퇴 스모 단발식과 환갑 도효이리 파티에도 참석했다. 지요노후지의 장례식에 참석한 마쓰야마는 "그렇게 강한 남자가 이렇게 빨리 가다니… 명복을 빌지 않겠다. 관에서 빨리 일어나라고 말하고 싶다"며 슬퍼했다.[142]

8. 평가

지요노후지는 스모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지만, 그 이면에는 여러 가지 논란과 평가가 존재한다.


  • 취미: 골프광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노에(기타노후지)의 권유로 골프를 시작했다. 직소 퍼즐을 취미로 삼았던 시기도 있었다.[143]
  • 가족: 차녀 아키모토 코즈에모델이자 탤런트로 활동하고 있다. 1988년 5월 23번째 우승 당시 생후 10개월이었던 아키모토를 안고 기념 촬영을 했다.[145]
  • 피폭 2세: 아버지는 히로시마시 우지나(현 미나미구)에 있던 구 육군 선박사령부(아카츠키 부대) 소속으로, 1945년 8월 6일 원폭 투하 당시 피폭되어 구호 활동을 했다.[143][144]

8. 1. 업적과 영향력

지요노후지는 통산 1045승(마쿠우치 807승)을 기록하여 스모 역사상 최다승을 달성했다.[143] 1981년부터 1988년까지 53경기 연속 무패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후타바야마 사다지(69경기)와 하쿠호 쇼(63경기)에 이어 역대 3위에 해당한다.[143] 1988년과 1989년에는 일본 프로 스포츠 대상을, 1989년에는 국민영예상을 수상했다.[143]

53연승이 멈춘 것은 다이노쿠니에게 패배했을 때인데, 당시 "연간 3회 전승 우승"과 "3장소 연속 15전 전승 우승"이라는 대기록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었다. 50연승 이상을 달성한 요코즈나 중 요코즈나에게 패해 연승이 멈춘 것은 지요노후지가 유일하다.

은퇴 당시 통산 1045승과 막내 807승은 모두 역대 최고 기록이었다. 이후 가이오가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기록을 경신했지만, 지요노후지는 "기록을 빼앗긴 아쉬움은 전혀 없다. 앞으로의 선수들이 힘을 낼 수 있도록 더 많은 기록을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다"라며 축하했다.

지요노후지는 연간 최다승 수상 횟수가 3회로 적은 편인데, 이는 요코즈나 승진 후 거의 매년 1장소씩 휴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휴장을 제외한 승률은 매우 높았다.

지요노후지의 주요 기록
기록내용
통산 승리1045승 (당시 역대 1위, 현재 역대 2위)[143]
막내 승리807승 (당시 역대 1위, 현재 역대 2위)[143]
연속 무패53경기 (역대 3위)[143]
첫날부터 8연승 (중일 승리)25회 (당시 역대 1위)



아버지 아키모토 다카유키는 히로시마시 우지나(현 미나미구)에 있던 구 육군 선박사령부(아카츠키 부대) 소속으로 1945년 8월 6일 원폭 투하 당시 피폭되어 구호 활동을 했다.[143][144] 이 때문에 지요노후지는 피폭 2세이다.

차녀 아키모토 코즈에모델탤런트로 활동 중이다. 지요노후지는 1988년 5월 23번째 막내 우승 당시, 당시 생후 10개월이었던 아키모토 코즈에를 안고 천황배 기념 촬영을 했다.[145]

현역 시절 야오초 의혹을 받기도 했지만, 이타이 케이스케 등 야오초 고발자들은 "실력이 뛰어나 가친코로 싸워도 이길 가망이 없다고 상대가 생각했기 때문에 야오초에 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타이는 "가친코로 유일하게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은 대장(지요노후지)뿐이었다"라고 평가했다.

은퇴 후, 닛칸 스포츠 기자와의 회식에서 "나는 닛칸이 싫어!"라고 말했지만, 막걸리를 많이 마신 후에는 기자에게 웃는 얼굴을 보였다고 한다. 그는 "삼역이 오제키를, 오제키가 요코즈나를 목표로 한다면 더욱 더 연습해야 한다. '더'가 아니야. 더욱 더, 이다"라는 말을 남겼다.[153]

통산 1000승을 달성했을 때 "다음 목표는?"이라는 질문에 "1001승입니다"라고 농담을 하는 등 익살스러운 면모도 보였다.

2016년 7월 31일 췌장암으로 사망한 후, 일본 정부는 스모계 발전에 기여하고 쇼와 시대를 대표하는 스포츠 영웅으로서 대중적 인지도가 높다는 점을 들어 종4위와 욱일중수장을 추서했다.

8. 2. 정치적 해석 (숨겨진 의도)

지요노후지는 현역 시절 뛰어난 실력으로 많은 기록을 세웠지만, 한편으로는 야오초(八百長, 승부 조작) 의혹을 받기도 했다. 이타이 케이스케와 타카테츠잔 타카유키신 등 야오초를 고발한 사람들은 지요노후지가 워낙 강해서 상대 선수들이 례금을 받고 야오초에 응했다고 주장했다. 이타이는 "가친코(진검승부)로 유일하게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은 대장(지요노후지)뿐이었다"고 말하며 그의 실력을 인정했다.[147]

테라오와의 경기에서 보여준 쓰리오토시는 팬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켰지만, 테라오는 "아무도 다치지 않는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147] 타카테츠잔 타카유키신의 저서 『야오초』에 따르면, 지요노후지는 고니시키를 야오초에 끌어들이기 위해 일부러 압도적인 실력 차이를 보여주었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지요노후지가 단순히 뛰어난 실력만 가진 것이 아니라, 스모계의 어두운 면과도 연관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의 업적은 칭송받아 마땅하지만, 그 이면에 감춰진 진실 또한 기억해야 할 것이다. 이는 당시 일본 사회의 권위주의적 분위기와도 무관하지 않다. 지요노후지는 보수적인 스모계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권위주의 정권의 홍보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9. 주요 업적

지요노후지는 홋카이도 후쿠시마정 출신으로 15세에 스모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1981년부터 1991년 은퇴할 때까지 제58대 요코즈나를 지냈다. 통산 1,045승(마쿠우치 807승 포함)은 스모 역사상 최다승 3위에 해당하며, 1981년부터 1988년까지 53경기 연속 무패 기록은 후타바야마 사다지(69경기), 하쿠호 쇼(63경기)에 이어 3위이다.

1989년 국민영예상을 수상했고,[33] 2016년 췌장암으로 사망한 후에는 종4위욱일중수장이 추서되었다.[33]

개명 이력은 다음과 같다.


  • 아키모토 미쓰구|아키모토 미쓰구일본어 (1970년 9월 장소)[33]
  • 오아키모토 미쓰구|오아키모토 미쓰구일본어 (1970년 11월 장소)[33]
  • 지요노후지 미쓰구|지요노후지 미쓰구일본어 (1971년 1월 장소 - 1974년 11월 장소)[33]
  • 지요노후지 미쓰구|지요노후지 미쓰구일본어 (1975년 1월 장소 - 1991년 5월 장소)[33]

9. 1. 주요 기록


  • 통산 성적: 1,045승 437패 159휴 (통산 승리 수 역대 3위) 승률 .705[33]
  • 막내 성적: 807승 253패 144휴 (막내 승리 수 역대 3위) 승률 .761[33]
  • 요코즈나 성적: 625승 112패 137휴 (요코즈나 승리 수 역대 3위) 승률 .848[33]
  • 오제키 성적: 38승 7패 승률 .844[33]
  • 현역 재위: 125장소[33]
  • 막내 재위: 81장소 (역대 10위)[33]
  • 요코즈나 재위: 59장소 (역대 3위)[33]
  • 오제키 재위: 3장소[33]
  • 산야쿠 재위: 5장소 (세키와케 2장소, 고무스비 3장소)[33]
  • 연간 최다 승리: 3회
  • * 1982년 (74승 16패), 1985년 (80승 10패), 1986년 (68승 10패 12휴)[33]
  • 연속 6장소 승리: 83승 (1988년 5월 장소 - 1989년 3월 장소)[33]
  • 통산 (막내) 연속 승리: 11장소 (1986년 5월 장소 - 1988년 1월 장소)[33]
  • 막내 연속 두 자릿수 승리: 9장소 (1981년 11월 장소 - 1983년 3월 장소, 1984년 9월 장소 - 1986년 1월 장소)[33]
  • 막내 연속 12승 이상 승리: 5장소 (1981년 11월 장소 - 1982년 7월 장소, 1986년 5월 장소 - 1987년 1월 장소)[33]
  • * 통산 연속 승리, 막내 연속 두 자릿수 승리, 연속 12승 이상 승리의 기록은 오제키요코즈나 승진을 이룬 1981년 이후, 연간 전부 개근한 해가 1982년과 1985년의 2년으로 그쳤기 때문에 역대 베스트 10에는 들어 있지 않다. 그러나 첫 우승을 달성한 1981년 1월 장소 이후, 오제키, 요코즈나 시대에 개근한 장소에서 한 자릿수 승리로 끝난 장소는 단 하나도 없다.[33]

9. 2. 수상 내역



상별 결전 출장 경험은 통산 9회로, 이 횟수는 역대 1위이다. 대전 내역은 기타노우미 3회, 다카노사토 4회, 후타하고로 2회이다. 특히 다카노사토와는 1983년 7월 ~ 1984년 1월까지 4장소 연속 상별 결전에 의한 천추락 맺음 대결이 있었다. 같은 대전 카드에 의한 상별 결전이 연속되는 경우는 와지마 - 기타노우미 (1976년 11월 ~ 1977년 1월), 기타노우미 - 지요노후지 (1981년 5월 ~ 7월), 아케보노 - 다카노하나 (1995년 3월 ~ 5월), 아사쇼류 - 하쿠호 (2008년 1월 ~ 3월)가 있지만, 모두 2장소 연속에 그쳤으며, 4장소 연속으로 상별 결전이 실현된 경우는 지요노후지 - 다카노사토 이외에는 과거에 예가 없다.

; 지요노후지의 상별 결전 출장 일람

장소대전 상대 (지위)승패비고
1981년 5월 장소기타노우미 (요코즈나)천추락 1패끼리 상별 결전
1981년 7월 장소기타노우미 (요코즈나)천추락 1패끼리 상별 결전
1982년 1월 장소기타노우미 (요코즈나)천추락 2패끼리 상별 결전
1983년 7월 장소다카노사토 (오제키)천추락 1패끼리 상별 결전
1983년 9월 장소다카노사토 (요코즈나)천추락 전승끼리 상별 결전
1983년 11월 장소다카노사토 (요코즈나)천추락 1패끼리 상별 결전
1984년 1월 장소다카노사토 (요코즈나)천추락 2패끼리 상별 결전
1986년 5월 장소기타오 (오제키)천추락 2패끼리 상별 결전
기타오는 요코즈나 승진 시 「후타하고로」로 개명
1986년 11월 장소후타하고로 (요코즈나)천추락 2패끼리 상별 결전


9. 3. 개명 이력


  • 아키모토 미쓰구 (あきもと みつぐ)일본어: 1970년 9월 장소[33]
  • 오아키모토 미쓰구 (おおあきもと みつぐ)일본어: 1970년 11월 장소[33]
  • 지요노후지 미쓰구 (ちよのふじ みつぐ)일본어: 1971년 1월 장소 - 1974년 11월 장소[33]
  • 지요노후지 미쓰구 (ちよのふじ みつぐ)일본어: 1975년 1월 장소 - 1991년 5월 장소[33]

10. 관련 작품

지요노후지는 현역 시절의 활약과 은퇴 이후의 행적을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서적으로는 진마쿠 미쓰구의 《지고는 못 산다》, 지요노후지 미쓰구의 《불요불굴: 1045승으로 가는 길》, 고코노에 미쓰구의 《울프라고 불린 남자》, 《綱(쓰나)의 힘》, 사카사카 마쓰히코와 공저한 《나는 이렇게 싸웠다 요코즈나 지요노후지》, 야마자키 쿄스케의 《지요노후지 이야기 북쪽의 대장 상·하권》, 로라 샤르노프의 《그랜드 스모: 살아있는 스포츠와 전통》 등이 있다.

  • 영상 작품으로는 1981년 일본 TV 드라마 東京ベイビー|도쿄 베이비일본어 최종화에 특별 출연했고, 1991년부터 1992년까지 간사이 TV에서 제작하고 후지 TV 계열(FNS)에서 방송된 千代の富士物語|지요노후지 이야기일본어가 있다. 이 드라마에서는 미야시타 나오키, 시시도 카이가 지요노후지를 연기했다.

  • 마쓰야마 치하루의 곡 '불타는 눈물'은 드라마 "지요노후지 이야기"의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고, 이시하라 슈지의 곡 '쇼와의 선풍(바람) ~울프~'는 지요노후지의 사망 1주기에 맞춰 발표되었다.

  • 도키와 제약 공업 CF에 출연했고, 패밀리 컴퓨터 게임 '지요노후지 미쓰구의 오오이쵸'가 발매되기도 했다.

10. 1. 서적


  • 진마쿠 미쓰구, 《지고는 못 산다》, 도쿄 신문 출판국 (1991년)
  • 지요노후지 미쓰구, 《불요불굴: 1045승으로 가는 길》, 히노데 출판 (1992년)
  • 고코노에 미쓰구, 《울프라고 불린 남자》, 요미우리 신문 (1993년)
  • 고코노에 미쓰구, 《綱(쓰나)의 힘》, 베이스볼 매거진사 (2011년)
  • 지요노후지 미쓰구, 사카사카 마쓰히코 공저, 《나는 이렇게 싸웠다 요코즈나 지요노후지》, 일본방송출판협회(1991년)
  • 야마자키 쿄스케, 《지요노후지 이야기 북쪽의 대장 상·하권》
  • 로라 샤르노프, 《그랜드 스모: 살아있는 스포츠와 전통》, 웨더힐 (1993년)

10. 2. 영상 작품


  • 東京ベイビー|도쿄 베이비일본어 최종화 "마코토 씨 힘내세요" (일본 TV, 1981년)
  • 千代の富士物語|지요노후지 이야기일본어 (간사이 TV 제작 / 후지 TV 계열(FNS), 1991년 - 1992년)
  • 花王ファミリースペシャル|가오 패밀리 스페셜일본어 시간대에 방송. 제1부는 1991년 6월 2일 - 23일 (총 4회), 제2부 "청춘편"은 1992년 2월 2일 - 9일 (총 2회), 제3부 "영광으로 가는 길"은 1992년 10월 4일 - 11일 (총 2회)에 각각 방송되었다.
  • 연출은 시미즈 미쓰루, 나카무라 킨타. 각본은 우치다 마키코, 오야마우치 미에코. 음악은 사카타 고이치가 담당. 미야시타 나오키 (신제자 시절), 시시도 카이 (현역 시절)가 지요노후지를 연기했다.

10. 3. 기타


  • 마쓰야마 치하루의 곡 '불타는 눈물'은 간사이 TV 드라마 "지요노후지 이야기"의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으며, 미니 앨범 『불타는 눈물』에 수록되었으나 현재는 절판되었다.
  • 이시하라 슈지의 곡 '쇼와의 선풍(바람) ~울프~'는 미에현 도바시에서 낚시꾼 숙소 "[http://www.hamabeya.com/ 하마베야]"를 운영하며 엔카 가수로 활동하던 이시하라 슈지가 지요노후지의 사망 1주기에 맞춰 2017년 7월 26일 킹 레코드에서 발표한 곡이다. 지요노후지는 생전에 낚시를 취미로 즐겼으며, 이시하라 슈지와는 가족, 방 단위로 오랫동안 교류가 있었다.
  • 도키와 제약 공업 비타시 Z1000 (1983년) CF에 출연하였다.
  • 패밀리 컴퓨터 게임 '지요노후지 미쓰구의 오오이쵸' (1990년)는 FACE에서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본 장소에서 스모를 하여 번호를 올리고 연습을 통해 능력을 향상시켜 요코즈나를 목표로 하는 "승진 모드"가 메인 모드이다. "승진 모드"에는 난이도가 높은 "관중 모드"와 초보자를 위한 "막하 모드"가 있으며, 지요노후지는 "관중 모드"의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그 외에도 "연습 모드", "대결 모드", "관전 모드"가 있다. 게임 화면은 『츳파리 오오즈모』와 매우 흡사하다.

참조

[1]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2009 https://books.google[...] Bantam Books 2009-01-01
[2] 뉴스 Kaio breaks Chiyonofuji's makuuchi win record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0-01-14
[3] 웹사이트 Hakuho owns longest postwar win streak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Online 2012-07-26
[4] 웹사이트 元横綱・千代の富士の九重親方が死去 http://www3.nhk.or.j[...] NHK 2016-08-01
[5] 서적 The Giants of Sumo Macdonald/Queen Anne Press
[6] 문서 Sharnoff, p. 5
[7] 서적 Law in Everyday Japan: Sex, Sumo, Suicide, and Statu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8] 웹사이트 元横綱千代の富士の九重親方が死去、61歳 史上3位の優勝31度 http://www.sankei.co[...] 2016-08-01
[9] 웹사이트 "いい目をしとるな。がんばれよ"。後に横綱、千代の富士となる… http://mainichi.jp/a[...] 2016-08-02
[10] 문서 Sharnoff, p. 56
[11] episode Chiyonofuji:The Way of the Wolf
[12] 문서 Sharnoff, p. 62
[13] 웹사이트 Hakuho bests legendary Taiho's record with 33rd career championship http://www.japantime[...] 2016-08-02
[14] 웹사이트 Muscular Chiyonofuji's career bloomed late https://www.japantim[...] 2019-11-18
[15] 뉴스 Little Big Man Of Sumo Retires https://query.nytime[...] 2008-02-19
[16] 문서 Ichidai-toshiyori is offered in recognition of great achievements in sumo world. Those who attained this special status include the 48th Yokozuna Taihō and the 55th Yokozuna Kitanoumi.
[17] 웹사이트 一代年寄 [ichidai-toshiyori] http://kotobank.jp/w[...] Shogakukan
[18] 웹사이트 千代の富士貢 [Chiyonofuji Mitsugu] http://kotobank.jp/w[...] Shogakukan
[19] 웹사이트 北の富士勝昭 [Kitanofuji Katsuaki] http://kotobank.jp/w[...] Kodansha
[20] 웹사이트 Sumo Beya Guide – Kokonoe Beya http://www.sumo.or.j[...] Japan Sumo Association 2016-04-12
[21] 웹사이트 Sumo – Traditional Japanese Wrestling http://www.japan-zon[...] 2016-08-02
[22] 웹사이트 Sumo: Stablemaster Tanigawa, 19 wrestlers booted for match fixing http://mdn.mainichi.[...] Mainichi Daily News 2011-04-01
[23] 웹사이트 Eleven stable masters declare candidacies for JSA board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6-04-14
[24] 웹사이트 Ex-yokozuna Chiyonofuji returns to sumo ring for 60th birthday ceremony http://mainichi.jp/e[...] The Mainichi 2016-04-14
[25] 문서 Sharnoff, p. 95
[26] 웹사이트 Sumo great former yokozuna Chiyonofuji dies at age 61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16-08-01
[27] 웹사이트 Sumo wrestlers pay tribute to Chiyonofuji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6-08-01
[28] 웹사이트 Sumo icon Chiyonofuji dies at 61 http://www.japantime[...] 2016-07-31
[29] 웹사이트 元横綱千代の富士の九重親方が死去 61歳 http://headlines.yah[...] 2016-07-31
[30] 웹사이트 Japan Sumo Association announces farewell ceremony for late legend Chiyonofuji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16-08-03
[31] 웹사이트 Chiyonofuji bouts by kimarite http://sumodb.sumoga[...] Sumo Reference 2009-11-10
[32] 문서 Sharnoff
[33] 웹사이트 Chiyonofuji Mitsugu Rikishi Information http://sumodb.sumoga[...] Sumo Reference 2012-07-27
[34] 웹사이트 角界「異名」列伝 ウルフの時代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7-08-01
[35] 웹사이트 第58代横綱 千代の富士 貢 https://www.sumo.or.[...] 日本相撲協会 2024-05-04
[36] 뉴스 「カッコイイ…なんて名前の力士ですかね?」“伝説の横綱”千代の富士…関係者たちが証言する「筋肉が硬すぎて、手術のメスが入らなかった」(1/3ページ) https://number.bunsh[...] Number Web 2023-01-21
[37] 서적 相撲豪傑伝
[38] 문서 当時、[[全日本空輸]]が所有していた[[フォッカー F27|フォッカーフレンドシップ]]だったとされ、当時は福島町の町長でさえも搭乗したことがない乗り物だった。
[39] 간행물 앱스타일
[40] 서적 昭和平成 大相撲名力士100列伝 北辰堂出版
[41] 서적 いま語る 私の歩んだ道〈2〉 北海道新聞社 2006-02
[42] 서적 相撲豪傑伝
[43] 서적 大相撲名力士風雲録 베이스볼 매거진사
[44] 서적 大相撲名門列伝シリーズ(3) 高砂部屋 베이스볼 매거진사
[45] 서적 相撲豪傑伝
[46] 서적 相撲豪傑伝
[47] 문서 鋭く当たって左からのおっつけで体勢を起こし、突き落とそうとする大受の動きに乗じて回り込み、寄り立て、がぶり寄りの攻めで寄り切った。大受は当時は西前頭8枚目。
[48] 문서 天龍に弾かれるようにしていなされ一方的に突き出されるなどの敗戦がある。
[49] 서적 負けてたまるか 東京新聞出版局
[50] 서적 相撲豪傑伝
[51] 기사 別冊「[[グラフNHK]]」大相撲特集号[[1977年]]春場所 日本放送出版協会発行
[52] 서적 相撲豪傑伝
[53] 서적 相撲豪傑伝
[54] 웹사이트 けがの功名 http://dd.hokkaido-n[...] 北海道新聞社 2016-08-02
[55] 문서 肩を徹底的に鍛えて筋肉で固めたことが脱臼しにくくする効果はあった反面、脱臼してしまうと元に戻すことが非常に難しくなってしまい、これを治せた人は元大関・[[清國勝雄|清國]]の伊勢ヶ濱親方1人だけだった。このため千代の富士が肩を脱臼すると伊勢ヶ濱親方がすぐに[[支度部屋]]に駆けつけていたほどだった。はめ直すシーンはたびたびテレビ中継で放映された。
[56] 뉴스 小兵、脱臼癖…だから大横綱になれた 1日千回もの腕立て伏せも https://www.sponichi[...] 스포츠니폰신문사 2016-08-01
[57] 서적 相撲豪傑伝
[58] 문서 この取り口の変化は北の富士も予想していなかった。北の富士は「前みつを取って食い下がって投げを打って勝つような相撲になると思っていた」と語っている。
[59] 문서 立合いから左前みつを取って攻め立てた。敗れはしたものの足腰の良さを発揮して輪島の投げを再三しのぎ、連続投げについていく場面、瞬発力を活かして攻勢に出る瞬間もあった。最後は吊り出されて敗れたが、輪島を吊ろうとする場面もあった。
[60] 서적 대스모 중계
[61] 뉴스 千代の富士「若貴ブームは2人だけど、ウルフフィーバーは俺1人」SNSで再脚光を浴びた大横綱の肉体美と“視聴率65.3%”の伝説(2/3ページ) https://number.bunsh[...] NumberWeb 2022-05-08
[62] 뉴스 朝日新聞1981年7月21日付朝刊スポーツ面 朝日新聞 1981-07-21
[63] 간행물 대스모 저널
[64] 서적 대스모 중계
[65] 뉴스 朝日新聞1981年7月21日付夕刊社会面 朝日新聞 1981-07-21
[66] 문서 横審が「長続き」を指摘したのは、千代の富士が肩の怪我を乗り越えて幕内に戻ってきた経歴と、直近の横綱である若乃花が休場がち、三重ノ海が短期で引退に追い込まれたことが背景としてあった(いずれも1981年7月21日付朝刊スポーツ面)。
[67] 뉴스 ウルフ・フィーバー裏話、50万円ライター隅田川へ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6-12-21
[68] 웹사이트 千代の富士などの取組「アーカイブ場所」で動画公開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12-23
[69] 서적 相撲豪傑伝
[70] 문서 1984年11月場所終了時点で優勝回数は10回に到達したが、[[蔵前国技館]]で開催の東京場所の優勝は2回のみ(1981年1月場所・1982年5月場所)に終わっている。
[71] 간행물 千代の富士 53連勝 NHK放送史
[72] 문서
[73] 뉴스 日刊スポーツ 1991-05-15
[74] 논문
[75] 문서
[76] 문서
[77] 문서
[78] 논문 アプリスタイル
[79] 문서
[80] 문서
[81] 웹사이트 「『千代の富士引退』ってテロップがサザエさんのおでこに」まさかの速報に本人も仰天…千代の富士“伝説の引退会見”はこうして生まれた https://number.bunsh[...] 2023-04-02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뉴스 【初場所】北の湖理事長、前半戦を休場へ http://hochi.yomiuri[...] 報知新聞社 2017-08-01
[90] 뉴스 【初場所】九重代行の初日協会あいさつに声援「ちよのふじー」 http://hochi.yomiuri[...] 報知新聞社 2017-08-01
[91] 뉴스 九重親方、現職事業部長初の落選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7-08-01
[92] 뉴스 相撲協会の大横綱冷遇 https://web.archive.[...] 東京スポーツ新聞社 2017-08-01
[93] 서적 大相撲名門列伝シリーズ(3) 高砂部屋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94] 문서
[95] 뉴스 「ウルフ」還暦土俵入り 九重親方、赤い綱で雲竜型を披露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7-08-01
[96] 뉴스 【甘口辛口】九重親方の還暦土俵入り、現役時代をほうふつさせる雲龍型が期待できそう https://www.sanspo.c[...] サンケイスポーツ新聞社 2016-08-02
[97] 뉴스 土俵入りも「革新的」=九重親方死去 http://www.jiji.com/[...] 時事通信社 2016-08-02
[98] 뉴스 元横綱千代の富士の九重親方、膵臓がんを告白 https://yomidr.yomiu[...] 読売新聞社 2016-07-31
[99] 뉴스 九重親方が膵臓がん手術 早期「大丈夫だよ」 https://www.nikkansp[...] 2016-07-31
[100] 뉴스 東京新聞 2016-08-01
[101] 뉴스 「昭和の大横綱」北の湖理事長が死去 62歳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7-08-01
[102] 뉴스 九重親方 目を潤ませ「偉大な人だった」理事長との熱戦振り返り…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7-08-01
[103] 뉴스 「鋼の横綱」千代の富士、膵臓がんに屈す 61歳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7-08-01
[104] 뉴스 千代の富士死す 小さな大横綱V31回、膵臓がんで…まだ61歳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17-08-01
[105] 웹사이트 がん闘病の九重親方 抗がん剤拒み樹木希林と同じ放射線治療 https://www.news-pos[...] 小学館 2017-08-01
[106] 뉴스 さらばウルフ!元千代の富士の九重親方、急死…がんが胃や肺などに転移 http://www.hochi.co.[...] 報知新聞社 2017-08-01
[107]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08] 뉴스 元横綱・千代の富士の九重親方が死去 http://www3.nhk.or.j[...] 2016-07-31
[109] 뉴스 元横綱千代の富士の九重親方が死去、61歳 史上3位の優勝31度 https://www.sankei.c[...] 2016-07-31
[110] Twitter 秋元梢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16-07-31
[111] 문서
[112] 웹사이트 北の富士さん、九重親方弔問「強い順番で…」 - 大相撲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19-07-04
[113] 뉴스 千代の富士に「日本一!」出棺時に惜別のかけ声 https://www.daily.co[...] 2016-10-12
[114] 뉴스 巨人前監督・原氏、千代の富士さん告別式で思い出語った「我々の世代では大ヒーロー」 https://web.archive.[...] 報知新聞社 2017-08-01
[115] 뉴스 千代の富士さん、九重部屋で通夜 亡き三女と同じ自宅から旅立ち https://web.archive.[...] 報知新聞社 2017-08-01
[116] 뉴스 先代九重親方の通夜しめやかに 2000人が参列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7-08-01
[117] 뉴스 千代の富士さんお別れ会で千春絶叫 5000人追悼 https://www.nikkansp[...] 2016-10-12
[118] 뉴스 元横綱千代の富士さんへの叙位と叙勲が閣議決定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6-08-26
[119] 간행물 官報 2016-09-06
[120] 뉴스 横綱千代の富士の優勝額がJR両国駅改札内に設置へ https://www.nikkansp[...] 2020-08-30
[121] 뉴스 「千代の富士」がトレンドワード入り/第58代横綱写真特集 https://www.nikkansp[...] 2022-04-24
[122] 서적
[123] 서적
[124] 뉴스 九重親方の一面、弟子と交換日記に絵文字入りメール https://www.nikkansp[...] 2021-04-17
[125] 서적
[126] 뉴스 千代の富士、脱臼癖から生まれた「筋肉のよろい」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7-08-02
[127] 뉴스 「鋼の横綱」千代の富士、膵臓がんに屈す 61歳 https://www.nikkansp[...]
[128] Youtube 【#86 対談】小錦(元大関)が舞の海と安芸乃島について語る!(Vol.10 元大関 小錦 波乱万丈の人生!ザ・エキスパート第7回目のゲスト) https://www.youtube.[...] 2023-04-28
[129] 간행물 Sports Graphic Number 文藝春秋 2019-02-28
[130] 웹사이트 「千代の富士さんの筋肉は鉄板…痛くて痛くて」「『ウォーッ!』肩を脱臼した直後に腕立て300回」“最高の横綱”と対戦した元大関の告白(1/2ページ) https://number.bunsh[...] 2023-01-21
[131] 웹사이트 「カッコイイ…なんて名前の力士ですかね?」“伝説の横綱”千代の富士…関係者たちが証言する「筋肉が硬すぎて、手術のメスが入らなかった」(2/3ページ) https://number.bunsh[...] 2023-01-27
[132] 웹사이트 「カッコイイ…なんて名前の力士ですかね?」“伝説の横綱”千代の富士…関係者たちが証言する「筋肉が硬すぎて、手術のメスが入らなかった」(3/3ページ) https://number.bunsh[...] 2023-01-27
[133] 웹사이트 千代の富士は「この世界でしか生きられない不器用な人だった」かつての朝潮が語る“昭和の大横綱の素顔”とは(2/2ページ) https://number.bunsh[...] 2022-09-12
[134] 서적 天下盗り狼 千代の富士貢 - 九重三代風雲録 徳間書店
[135] 문서
[136] 웹사이트 「千代の富士さんの筋肉は鉄板…痛くて痛くて」「『ウォーッ!』肩を脱臼した直後に腕立て300回」“最高の横綱”と対戦した元大関の告白(2/2ページ) https://number.bunsh[...] 2023-01-21
[137] 서적
[138] 서적 私はかく闘った 横綱千代の富士 日本放送出版協会
[139] 뉴스 兄弟子・九重親方急逝から一夜…八角理事長「治ると思っていた」 https://www.sponichi[...] 2017-08-02
[140] 뉴스 8月18日 千代丸「玉鷲『愛』に対抗心」 https://www.nikkansp[...] 2017-10-02
[141] Youtube 【30万再生】ウルフ・千代の富士が怖すぎ!元小結・千代大龍の明月院さんが見た、本当の大横綱の姿【大相撲】 https://www.youtube.[...] 2024-04-04
[142] 뉴스 松山千春「冥福祈らない」九重親方通夜で悔しさ語る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16-08-06
[143] 서적 負けてたまるか 北海道新聞社
[144] 뉴스 元横綱千代の富士死去 中国新聞社 2016-08-1
[145] 문서 同様に千代の富士は賜杯と共に自身の子供を抱いての記念撮影を長女、長男、三女とも行っている(長女は1984年11月場所、長男は1987年11月場所、三女は1989年3月場所)。
[146] 간행물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47] 문서 Sports Graphic Number 文藝春秋 2019-02-28
[148] 웹사이트 九重親方「第2の千代の富士を」…高砂親方思い出す - 大相撲 : 日刊スポーツ https://www.nikkansp[...] 2019-07-04
[149] 문서 特に初めて番組に顔を出したときには、[[アン・ルイス]]が[[吉川晃司]]との過激なパフォーマンスを展開して物議を醸した回で、歌の最中に千代の富士は不機嫌な表情を浮かべながらその一部始終を見届けており、その形相を気にした芳村が話題をそらそうとして千代の富士に頻繁に話しかけていた。
[150] 문서 該当の回は芳村のパートナーの司会者が[[井上順]]から[[古舘伊知郎]]に交代した初回であり、古舘が当時実況を担当していた『[[ワールドプロレスリング]]』の繋がりで、この番組で試合を中継していたプロレス団体である[[新日本プロレス]]の当時社長で古舘と交友のあった[[アントニオ猪木]]も出演していた。猪木と千代の富士はその後も猪木の引退試合に千代の富士が駆けつけたり、千代の富士の還暦土俵入りや死去の際には猪木が駆けつけたりするなど、千代の富士が死去するまで交友が続いていた。また、師匠である北の富士は現役力士だった時代に歌手として『夜ヒット』に出演した経験がある。
[151] 뉴스 千代の富士の旧九重部屋、ちゃんこ屋に生まれ変わりオープン 本物の土俵にウルフの忘れ形見も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3-02-20
[152] 웹사이트 台東区に新名所!「千代の富士」銅像除幕式! http://www.kokonoe-b[...] 九重部屋 2011-06-02
[153] 뉴스 今も実感沸かぬ大横綱の死/記者が振り返るあの瞬間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05-12
[154] 문서 琴の郷栄一|琴の郷との優勝決定戦
[155] 문서 右肩関節脱臼により8日目から途中休場
[156] 문서 北の湖敏満|北の湖と優勝決定戦
[157] 문서 左足首関節捻挫により3日目から途中休場
[158] 문서 朝潮太郎 (4代)|4代・朝汐と優勝決定戦
[159] 문서 右股関節捻挫により8日目から途中休場
[160] 문서 腰背部挫傷により3日目から途中休場
[161] 문서 北尾光司|北尾(のち双羽黒)と優勝決定戦
[162] 문서 双羽黒と優勝決定戦
[163] 문서 腰部椎間板損傷により11日目から途中休場
[164] 문서 左肩関節脱臼により千秋楽不戦敗
[165] 문서 北勝海信芳|北勝海と優勝決定戦
[166] 문서 左上腕二頭筋部分断裂により3日目から途中休場
[167] 서적 ファミコンクソゲー番付 マイウェイ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